📂 4. 연금·노후준비

퇴직연금(IRP) 세액공제 얼마나 받을까? (2025년 기준 총정리)

종합정보꾼 2025. 5. 10. 15:55
반응형
SMALL

📌 IRP란 무엇인가요?

IRP는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약자로, 개인형 퇴직연금입니다. 퇴직금이나 개인이 따로 납입한 금액을 적립해 두었다가 노후에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상품으로, 연말정산에서 대표적인 세액공제 혜택 항목으로 꼽힙니다.

2025년에도 IRP를 활용한 세액공제는 계속 유지되고 있으며, 연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활용해볼 수 있는 ‘절세+노후 준비’ 전략이 됩니다.

📌 IRP 세액공제 한도 (2025년 기준)

  • 개인 납입 한도: 연간 최대 1,800만 원
  • 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최대 700만 원까지
  • 세액공제율: 16.5% 또는 13.2% 적용

즉, IRP에 700만 원을 납입하면 최대 115만 5천 원(16.5%)까지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수준에 따라 공제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 세액공제율 기준

총급여공제율
5,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4천만 원 이하)16.5%
그 외13.2%

공제율 차이가 크기 때문에, 연 소득이 낮을수록 IRP의 절세 효과는 더욱 커집니다.

📌 IRP 가입 조건 및 대상

  • 만 19세 이상 근로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소득 있는 누구나 가능
  • 퇴직금을 받은 후에도 별도로 본인 납입금 추가 가능
  • 퇴직금과 무관하게 가입해 연금처럼 운영 가능

즉, 직장을 옮겨도 계좌는 유지되며, 이직·퇴직과 관계없이 납입을 이어갈 수 있는 유연성이 장점입니다.

📌 세액공제 받는 법

  1. IRP 전용 계좌 개설 (은행·증권사 앱 또는 지점)
  2. 연말까지 개인 납입 진행 (매월 또는 일시납)
  3. 연말정산 시 납입 내역 제출 → 자동 세액공제 반영

대부분의 금융사에서 연말정산용 납입확인서를 발급해 주므로, 홈택스에서 간편하게 연동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마무리

퇴직연금(IRP)은 단순한 노후 준비 수단이 아닙니다. 현재의 세금을 줄여주는 확실한 절세 상품이기도 합니다. 특히 연말정산에서 돌려받는 금액이 크기 때문에, 일정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면 연초부터 계획적으로 납입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IRP는 가입도 쉽고, 세액공제 효과도 커서 ‘세금 줄이는 만능 키’와도 같습니다. 아직 가입하지 않으셨다면 지금 바로 알아보시옵소서!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