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정부지원·정책대출
2025 서울시 청년수당 신청 방법 총정리|월 50만 원, 6개월 동안 받는 법!
종합정보꾼
2025. 5. 6. 17:12
반응형
SMALL
“취업 준비 중인데 생활비가 너무 빠듯해요…”
이런 청년들을 위해 서울시에서는 ‘청년수당’ 제도를 매년 운영하고 있어요!
2025년에도 서울에 거주하는 미취업 청년에게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총 300만 원을 지원합니다.
신청 대상부터 준비 서류, 주의사항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서울시 청년수당이란?
- 만 19세~34세 서울 청년을 대상으로
- 취업 준비 중인 미취업자에게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지급
- 현금이 아닌 서울시 청년수당 카드(선불형 체크카드)로 지급
2. 2025 신청 대상
항목조건
나이 | 만 19 |
거주지 | 신청일 기준 서울시에 주민등록 |
상태 | 미취업자 (아르바이트는 가능, 3개월 이하 단기근무 OK) |
소득 |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건보료 기준, 약 월 290만 원 이하) |
학업 상태 | 졸업(수료) 후 2년 이내 or 졸업유예생 가능 |
※ 대학 재학생, 휴학생, 정규직 재직자는 신청 불가
3. 수당 지급 방식
-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 = 총 300만 원
- 서울시 제휴 체크카드 형태로 지급
- 식비, 교통비, 면접의상, 교육비 등 자유롭게 사용 가능
- 유흥, 사행성 업종 사용은 제한됨
4.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 서울청년포털 접속
→ 청년수당 메뉴 → 신청하기
2. 서류 준비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 졸업증명서 또는 졸업유예 증명서
- 통장 사본 등
3. 선정 심사 후 결과 발표
- 보통 신청 마감 후 3~4주 내 발표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아르바이트 중인데 신청 가능해요?
→ 네! 주당 30시간 미만, 단기근로(3개월 이하)는 신청 가능해요.
Q. 작년에 받았는데 또 신청할 수 있나요?
→ 중복 수령 불가. 1인 1회 수급만 가능해요.
Q. 사용처 제한이 있나요?
→ 유흥업소, 사행성 업종(PC방, 주점 등)은 사용 제한 있어요.
결론
월 50만 원 × 6개월,
청년수당은 단순한 돈이 아니라 취업 준비를 위한 기초자산이에요.
2025년에도 서울시 청년이라면 꼭 도전해보세요!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