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 연말정산·세금

전통시장 사용금액, 연말정산에서 얼마나 공제받을까?

종합정보꾼 2025. 5. 11. 12:45
반응형
SMALL

📌 전통시장 이용, 세금공제도 된다?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어떤 소비가 공제에 유리한지 궁금해지는 시점입니다. 특히 전통시장에서 지출한 금액은 일반 소비보다 더 높은 비율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 절세 전략의 핵심 포인트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통시장 공제 조건, 공제율, 한도 및 주의사항까지 2025년 기준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전통시장 공제 조건

  • 사용처: 국세청에 등록된 전통시장
  • 결제 수단: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모두 가능
  • 공제 대상: 근로소득자 중 연말정산 대상자

전통시장 확인 방법: 홈택스에서 간소화 서비스 내 사용처 확인 가능

📌 공제율은 무려 40%

구분공제율
신용카드15%
체크카드·현금영수증30%
전통시장40%

일반 소비보다 최대 2배 이상 높은 공제율을 적용받을 수 있는 영역입니다.

📌 연말정산 공제 한도는?

  • 총 한도: 300만 원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기준)
  • 전통시장 항목 한도: 별도로 최대 100만 원까지 인정

즉, 카드 공제와 전통시장 공제는 중복 적용 가능하며, 합산이 아닌 각각 한도 적용됩니다.

📌 공제 예시

  • 연간 급여: 4,000만 원
  • 카드 사용 총액: 2,000만 원 (전통시장 사용분: 300만 원)
  • 기준 초과액: 4,000만 × 25% = 1,000만 원 초과분만 공제 가능
  • 전통시장 사용분 300만 × 40% = 120만 원 공제
  • 기타 사용분 700만 × 15% = 105만 원 공제
  • 총 소득공제: 225만 원 → 환급액 최대 약 50만 원 가능

📌 함께 보면 좋은 글

📌 마무리

전통시장을 자주 이용하는 분이라면 연말정산 환급의 핵심 키워드를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특히 공제율 40%는 모든 소비 공제 항목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이므로, 카드 사용 시에도 전통시장 결제를 전략적으로 고려하면 좋습니다.

단, 홈택스에서 등록된 시장에서 결제했는지 여부가 중요하므로, 연초부터 지출 내역을 꼼꼼히 정리하고 사용처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LIST